척추관협착증, 운동법/증상/치료방법/좋은운동/수술후유증은??
척추관협착증이란??
척추관협착증의 운동법/증상/치료방법/좋은운동/수술후유증???
척추는 여러 개의 작은 척추뼈가 모아 인체의 기둥을 이루게 되는데요, 척추의 뼈와 뼈 사이에는 부딪치는 것을 막아주는 쿠션이 있습니다.
바로 '디스크'란 조직인데요, 우리말로는 '추간판'이라 불리우는 이 곳은 수핵을 둘러싸는 섬유륜이란 두꺼운 막과 같이 있습니다.
* '척추관'은 척추뼈의 앞부분의 추체, 뒤로는 추궁판으로 둘러 싸여 있는 공간을 뜻하는데요, 협착증은 신경이 지나다니는 통로인 척추관이 좁아진 상태를 뜻합니다.
척추관협착증의 정의
* 척추관협착증이란??
앞서 말씀드렸다시피 이 증상은 주로 요추부에서 발생하는데요, 간혹 이 증상을 디스크랑 헷갈려하시는분들이 계셔 다시 한 번 말씀을 드리자면
'디스크'는 걸을 때 통증이 유발, '협착증'은 움직일수록 통증이 경감된다라고 이해하시면 되겠습니다.
대표적인 척추질환 중 하나인 협착증의 경우, 디스크와 똑같이 허리가 아프다는 점에서 증상이 시작되기에 자칫 헷갈릴 수 있는 상황이 생길 수 있는데요,
아래 자가진단 체크리스트를 준비했으니 꼼꼼하게 읽어보시길 바랍니다.
척추관협착증의 자가진단리스트
* 척추관협착증 자가진단 리스트 *
1. 눕거나 앉았다 일어날 경우, 허리 통증 때문에 움직일 수 없다.
2. 발바닥이 시리거나 감감이 없어져 땅을 밟고 걷기 힘들다.
3. 엉치뼈가 시큰거리고 빠질듯이 아프다.
4. 걷다보면 다리에 힘이 빠지고 저린 느낌이 든다.
5. 추운 곳에 허리 통증과 시린 증상이 악하되고, 따뜻한 곳에 있으면 통증이 호전된다.
* 이 외에도 다양한 진단이 있습니다. 자세한 상황은 병원방문을 통해 알아보시길 바랍니다.
척추관협착증의 운동??
중년층이 두려워 하는 것 중 하나인 척추관협착증은 초기에 잡아보시는것이 중요한데요, 병원 방문을 통해 사전대비를 하시는분들도 계실거며 꾸준한 운동을 해 이 증상을 막아보실려고 하시는분들이 계실겁니다.
척추관협착증은 척추배열을 신경쓰셔야만 합니다.
하지만 허리통증의 모든 원인은 허리의 원래형태 즉, S자형이 변형이 되면서 발병되기에 요통을 잡아보시고 싶다면 척추배열을 신경쓰셔야만 하는데요,
* 협착증 및 디스크를 예방하시고 싶은분들께서는 건강보조기구를 통해 도움을 받아보신다고 합니다.
보조기구의 경우 많은 제품들이 시중에 나와 있습니다만 이는 같은 가용범위를 반복 수행하는 형태이므로
제일 좋은 것은 꾸준하면서 가벼운 근력운동 (수영+조깅)과 올바른 자세 (스트레칭) 제일 중요합니다.
돈 아끼겠다고 참으시면 더 큰 병으로 발전될 가능성이 높으니
정 아프시면 유명한 물리치료사에게 1차적으로 진료받고 주의사항을 숙지한 뒤 습관을 가지시는게 현명하다고
필자는 생각합니다.
'건강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허리디스크 (증상, 운동, 다리저림, 한 번에 잡아보세요!) (0) | 2017.11.28 |
---|